공부하는 것/좋은 논문쓰는 방법11 [영어 논문쓰기 특강 #2] 서론, 문헌연구, 논의 섹션 0. 지난 강의 리뷰 Reading for Language: A brief analysis of a recipe (포스팅 참고) Today's menu 장르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쓰기에 도움이 됨. 쓰기를 염두에 두고 제목의 구조를 유심히 보길 추천. 논문 제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콜론(:) 서론에는 주로 어떤 내용이 어떤 순서대로 오는지를 보길. 문단 단위로 보면 파악 가능 Ingredients 1 tablespoon olive oil - 수량 / 계량 단위 / 재료 2 cloves garlic, minced - 수량 / 계량 단위 / 재료 / 손질 방법 Trim, chop, mince, snip 등 재료에서는 동사들이 주로 과거분사 형태로 쓰이는 구나 [Step1] heat, add, c.. 2021. 2. 18. [영어 논문쓰기 특강 #1] 개념적 기초와 초록쓰기 전략 Ⅰ 들어가며 : 학술 영작문 3중고, 어떻게 풀 것인가? 3중고 외국어로 써야한다. 일상 산문도 영어로 써본 적이 없다. - 네이티브와 비교할 필요는 없음. 그들도 논문을 잘 쓰지는 않으니까. 언어 능숙도를 보면 미국인이나 영국인이 더 잘하겠지만 본인의 전공에 대해 논문을 쓰는 것은 다른 차원임. 네이티브보다 당연히 더 잘 쓸 수 밖에 없음. 하지만 차이를 아는 것은 중요함. 왜 네이티브와 차이가 나는가? 일상어와 학술어와의 차이라고 생각. 일상어조차 영어로 잘 안쓰는 상황에서 외국어로 학술 글쓰기를 얹는다는 것은 정말 큰 차이. 한국어 쓰기 교육도 받은 적이 없다. - 대학교 1학년 글쓰기 과목 외에는 대체로 한국어 교육도 받아본 적이 없다보니 이 상황에서 영어로 논문을 쓰려하니 어려울 수 밖에. 그래.. 2021. 1. 20.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