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것/좋은 논문쓰는 방법11 스스로에게 친절하길 - 허준이 교수의 명언 모음 일이 잘 안 풀리고 어떤 것을 좋아하고 싶은데 그렇게 되지 않고 순수한 마음을 유지하기가 힘들 때 스스로를 잘 놓아주고 여유를 두고 기다려줬으면 좋겠어요. 오히려 그럴 때 스스로가 스스로를 독촉하기 시작하면 어떤 대상을 순수한 마음으로 좋아하기가 더 힘들잖아요. 포기할 때는 포기할 줄도 알고 쉴 때는 쉴 줄도 알면서 은근히 자기자신을 조금씩 어떤 방향으로 격려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거에요. 수학은 어렵기 때문에 재미있는 면이 커요. 사람들이 그 어려운 마라톤을 매년 연습해서 완주하고, 무거운 역기를 들기 위해 하루도 빠짐없이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것과 같아요. 수학이 쉬우면 아마 굉장히 재미가 없을 거에요. 수학은 굉장히 어렵고 자신이 얼마나 깊이 생각할 수 있는지 끊임 없이 시험하기 때문에 계속 매력을.. 2022. 9. 6. 학계에 내딛는 첫 발, 네이처 기후변화지 - 그 비하인드 스토리 아주 기쁜 소식으로 9월이 시작됐다. 우연과 의지와 기질이 기막히게 정렬돼 연구실 선배들과 기후 분야의 최상위 저널에 이름을 싣는 영광을 얻었다. 나에게는 공식적으로 학계에 내딛는 첫 발이었다. 사실 허상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지금 느끼는 것은 실감이 나지 않는 기쁨에 가깝다. 지난 1년 동안 아이디어의 탄생부터 논문 발행까지, 그 과정을 옆에서 따라가면서 신선하고 재밌는 경험들을 마주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그 무수한 의지들 중 1년을 통틀어서 가장 빛난 것을 꼽으라면 단연 논문을 집필하고 이끈 1저자 선배의 공든 노력이라 말하고 싶다 👏🏻👏🏻👏🏻. 그리고 또, 과연 어떤 우연과 기질이 퍼즐의 조각을 이루었는지 빼놓을 수 없겠다. #비하인드스토리 작년에 내가 첨단관으로 이사 온지 얼마 안 됐을 무렵,.. 2022. 9. 4. 연구자의 길을 가며 학자란 앎의 근원적인 욕구와 관계하는 철학적 인식과, 자신이 속한 사회가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를 아는 역사적 인식을 얻기 위해 자신의 생을 헌신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 피히테 문헌정보학과 송민 교수님의 우수연구자 특강을 들었다. 교수님은 올 7월에 PLOS ONE이라는 국제 저명 학술지에서 최다 인용 논문 상위 10%를 기록하고 올해 Expertscape 발표에서 Bibliometric 분야 세계 top 1% 연구자로 선정되실만큼 세계적인 연구자이시다. 순탄치만은 않았던 연구자 생활이었으나 포기하지 않고 묵묵히 걸어오니 이런 성과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하셨다. 본인 소개를 하시며 처음 나눠주신 조언은 개인 홈페이지 관리를 꼭 할 것이었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 1) 자기 객관화와 동기부여를 .. 2021. 10. 5. [레포트/논문 작성을 위한 이미지 제작법] #2 Illustrator 포토샵에 대해 궁금하다면 본론1로! 본론 2. 일러스트레이터 Graph - 그래프 툴이 있기 때문에 엑셀을 사용하지 않고도 그래프를 제작하는데에 용이 막대 그래프 - 세로막대 그래프 : 일정 기간동안의 변화를 나타낼 때 효과적. 음의 값이 있을 때도 보통 세로가 효과적. (물론 IPCC 보고서에선 온실효과 강제력 정도 나타낼 때 가로그래프 사용함) - 가로막대 그래프 : 큰 주제의 세부적인 비율을 보일 때! 누적 그래프 - 그래프의 초점이 전체의 세부적인 구성부분을 보여주는데에 효과적. 동일한 출발점에서 씀. 선 그래프 - 일정 기간 동안의 변화를 나타내는데에 효과적 - 차이가 많지 않은 경우 막대보다 선 그래프가 더 효과적 - 간은 기간 내 다른 것들의 변화 비교에도 효과적 파이 그래프 - 어떤 구성비.. 2021. 5. 4. [레포트/논문 작성을 위한 이미지 제작법] #1 Photoshop 들어가며 현재 우리는 이미지 위주의 사회에서 살고 있다. 텍스트 만큼이나 이미지 베스트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 우리가 항상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과 디지털 기술의 진화가 큰 역할을 했다. 핸드폰의 많은 앱들은 주로 이미지 베이스이고 텍스트는 부가적인 역할을 한다. ex) 스타벅스의 별 누적 현황이나, 애플워치 탄생 전 나이키에서 만든 Fuel Band. 데이터를 어떻게 시각화를 잘했나 극찬 받았던 사례 어떻게 하면 이미지를 통해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까? 가령 해류의 변화는 글로 설명하는 것보다 이미지로 보이면 한 번에 이해시킬 수 있음. 이미지의 두 종류 1) 사진적 이미지 (Raster) : 카메라, 스마트폰 등으로 찍은 실사 이미지 → 포토샵에 최적화 2) 그래픽 이미지 (Vector).. 2021. 5. 4. [Writing Science/과학적 글쓰기] Chap.06 The Funnel: Connecting O and C Ch 6. The Funnel: Connecting O and C O: large problem을 정의하는것 C: specific question 을 정의하는것 Introduction의 main body는 이 둘을 연결 시키는 것이다. (모래시계의 깔때기) Focus를 narrow 하고 (general -> specific으로 이끌고) 스토리를 만들면서 'knowledge gap'을 프레이밍(framing, 틀을 짜는것) 하는 것이다. *knowledge gap은 general과 specific 사이의 지식의 격차 'knowledge gap'을 프레이밍 한다는 것은 배경 지식을 제시하면서 할 수 있다. SUCESS에서, U와 E를 담당 : 지식 격차와 구멍을 규명함으로써, 의외성을 만들고, 끝에 질문을 .. 2021. 4. 29. [Writing Science/과학적 글쓰기] Chap.05 The Opening Ch.5 The Opening " The most important sentence in any article is the first one." ㅡ William Zinsser, On Writing Well 글은 반드시 시작을 잘해야 한다!! 첫 인상은 강하고 오래 남기 때문. 아래 3가지 목표 달성을 위해 "power position"을 활용하도록 한다. [ Three goals ] ① identify the problem that drives the research ② introduce the characters ③ target an audience single sentence로 시작하되 한 문단 이상을 포함하여 opening 시작 재능이 있으면 challenge랑 conclusions까지도 미리 암.. 2021. 4. 29. [Writing Science/과학적 글쓰기] Chap.01 - 04 Science Writing as Storytelling 들어가며 아마존(Amazon)에서 과학적 글쓰기에 관해 상위 랭킹을 차지하고 있는 'Writing Science'를 스터디 하고자 한다. 저자는 Joshua Schimel 교수로 토양, 생태계, 화학 등에 전문성을 갖고 있는 환경 과학자이다. 본 도서는 약 220페이지로 과학 분야의 학술 글쓰기 방법을 쉽게 풀어내고 있다. 각종 예시와 예제를 통해 개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돼있다. (다만 저자의 전문분야인 토양 내 화학반응과 관련 된 예문이 많아서 전공자가 아니면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엔 버퍼링이 다소 걸린다. 종종 환경, 기후변화에 대한 컨텐츠가 나오면 매우 반가움.) 독자를 위한 안내 초록읽기 스터디를 함께 하는 친구들과 각 챕터를 맡아 매주 발제하는 형식으로 몇 주에 걸쳐 본 교재를 다 .. 2021. 3. 31. [이공계 논문쓰기 특강] 국제 학술지 출판을 위한 이공계 논문 작성 방법 논문 왜 쓰는가? 동료 학자들에게 내가 만든 "유익한 정보의 전달과 검증" 유익함은 어떻게 인정되는가? 1st. 많은 동료들에게 읽혀야 한다. 2nd. 많은 동료들이 인정하고 활용해 주어야 한다. 많이 읽히고 활용됨의 지표는? RG (Research Gate) Citations & Reads 횟수 1. 제목 Title "이렇게 유익한 내용이 들어가 있음"을 내포해야 함 정확하면서도 간결 대표적이고 강력한 주제어를 맨 앞에 배치. 첫 단어로 다음은 사용을 피할 것 The, A, On, Results on, Studies on, investigation on, An approach to, An analysis of e.g.)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 필요하.. 2021. 2. 1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