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것/좋은 논문쓰는 방법

[이공계 논문쓰기 특강] 국제 학술지 출판을 위한 이공계 논문 작성 방법

by peregrina_ 2021. 2. 18.
728x90

 

논문 쓰는가?

  • 동료 학자들에게 내가 만든 "유익한 정보의 전달과 검증"
  • 유익함은 어떻게 인정되는가?
    • 1st. 많은 동료들에게 읽혀야 한다.
    • 2nd. 많은 동료들이 인정하고 활용해 주어야 한다.
  • 많이 읽히고 활용됨의 지표는? RG (Research Gate) Citations & Reads 횟수

 

1. 제목 Title 

"이렇게 유익한 내용이 들어가 있음" 내포해야

  • 정확하면서도 간결
  • 대표적이고 강력한 주제어를 앞에 배치. 단어로 다음은 사용을 피할
    The, A, On, Results on, Studies on, investigation on, An approach to, An analysis of
    e.g.)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
  • 필요하다면 콜론을 사용해 부제목을 만들
  • A is B 라고 결론을 제목에 넣는 경우도 있음
  • 좋은 제목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기 시작 , 결과를 , 서론을 , 고찰을 후에 번씩 제목을 새로이 붙여본다.

 

2. 초록 Abstract

  • Abstract should be a miniature stand-alone article!
  • 논문이 내게 유익한 내용인가를 쉽게 판단하고, 계속해서 논문 전체를 읽도록 있어야
  • 논문을 읽어볼 없는 사람에게 대략의 연구내용과 메세지를 전달할 있어야
  • 짧은 시간에 내용을 파악할 있도록 간결하게 작성하라 (200~250 words)
  • 모든 구체적 정보를 담으려 하지 말고 중요한 트렌드만 밝혀주면
  • 구성
    • Background - 연구를 했나?
    • Methods - 어떻게 연구가 이뤄졌나?
    • Results - 어떤 결과가 나왔나?
    • Conclusion - 결론이 무엇인가?
    • 섹션이 2 이하의 문장으로 이뤄지는 것이 좋고 헤드라인을 붙여도 좋음

 

3. 서론 Introduction

  • 다른 문헌들의 고찰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해결하려는 문제 제시
  • 구성
    • 문제 제기
    • 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 제시 - 주제와 관련한 과거의 발견내용들
    • 가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 그리고 결론 - 제시하고자 하는 가설은 무엇인가? 어떻게 증명하였나? 의미는?
  • 시제는 대체로 과거형 또는 현재완료형. 그러나 연구목적은 현재형으로 기술 가능
  • 주요 논문의 내용을 소개할 때는 논문에 대한 장황한 리뷰를 만들지 말고 문장으로 요약
  • 표절 또는 자기표절을 피하라 - 하나의 문단이라도 인용표기 없이 가져오면 표절. 특히 페러프레이징을 철저히 해서 paraphrasing plagiarism 하지 마라

 

4. 재료와 방법 Meterials and Methods

  • 방법을 따라서 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나오도록 상세히 정보를 제공한다
  • 동일한 결과가 재현될 있도록 시약과 장비의 상세정보 제공(시약사 소재지 등등)
  • 약어는 최초로 언급할 풀어서 기술 , 이후엔 약어만 쓴다
  • 인용 : 이미 다른 논문에 기술된 동일한 방법이 사용됐다면 이를 그대로 옮겨 있음. 부분에 대한 표절은 대체로 관대함. 하지만 요약하거나 페러프레이징을 통해 조금이다로 다르게 .
  • 사용한 물질이 주체가 되도록 수동태로 기술
  • 문장은 숫자로 시작하지 않는 것이 관례
    e.g.) 6 mg of silver was analyzed A segment of 6 mg silver was analyzed..

 

5. 결과 Results

  • 서론에서 제기한 문제의 해답, 즉 가정에 대한 증거를 논리적으로 제시
  • 좋은 논문은 좋은 results section 기본, 좋은 results sections 치밀한 관찰과 기술에 기초.
  • 결과 데이터에 대한 치밀한 관찰과 분석이 좋은 논문을 만들기 위한 핵심
  • 결과에서 증거로 제시하는 데이터들은 하나의 result section으로 묶이며 자체로 하나의 작은 논문
    • 실험이 실시된 이론적 배경
    • 실험을 수행한 재료와 방법
    • 결과의 상세한 설명
    • ….
  • 주의할 점
    • 그림의 부분 부분을 지적하면서 결론을 치밀하고 정밀하게 제시
    • 그림이나 표를 보지 않고 결론만 읽어도 내용을 이해할 있게 상세해야
      가령
      fig.1 앞에 있는데 왔다갔다 하면서 보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 여러 데이터(figure) 순서는 가정을 논리적으로 지지하는 순서로 배치. 배치가 되었을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는 논문이 완성됨
    • 때로는 results 아닌 methods section 포함되는 것이 타당한 자료도 있음
  • 테이블과 그림
  • symbol 사용은 일관성 있어야 하며 legend에서 반드시 설명
  • 그래프에 여유공간이 있다면 legend 넣는 것은 좋으나 그림을 복잡하게 만들지
  • 통계 처리한 데이터를 표시하고, legend 방법과 결과를 기술
    • 요즘은 리뷰어들이 *p < 0.05 통계값을 중요하게 요구함.
  • 테이블과 그래프의 () 제목은 간결 명확하게 해야 .
    • 가령 코로나19 감염 경로에 대해 Exposure to SARS-CoV-2 만 쓰면 안되고 through 붙여줘야 함

 

6. 고찰 Discussion 

  • 데이터가 제시하는 결론을 포괄적으로 분석하고 서론에서 제기한 문제와 대비해서 생각해본 후, 전달하고자 하는 커다란 메시지를 만든다
  • 앞서 제시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
  • 서론에서 제기했던 가설과 연구목적에 대비해, 종합된 결과가 가설을 얼마나 지지하는지 논리적으로 정리
  • 중요하게 발견된 것을 다시 기술
  • 다른 연구와 대조되는 부분 일치하는 부분 정리. 이를 통해 주장의 타당성과 연구의 가치를 스스로 평가
  • 끝으로 향후 연구 방향 제시. 미처 연구되지 못한 , 지금은 해결이 어려운 부분들은 앞으로 연구돼야 필요성이 있다고 기술.
  • 결과의 실용적 측면 또는 기대효과도 기술
  • 주의점
    • Results에서 정리했던 결과를 다시 장황하게 기술하지 않을 . 불필요하게 고찰을 길게 만들 .
    • 반복 실험에서 서로 상치하는 결과가 나올 , 이를 보고하고, 이유에 대해 고찰 해야 .
    • 논문의 주장에 상치하는 다른 논문을 언급하고 상이점의 원인에 대해서 고찰해야 .
    • Results에서 언급되지 않은 결과를 고찰에서 기술하면서 새로운 주장을 펴는 것은 현명한 일이 아님.

 

7. 참고문헌

  • 올바른 인용은 기본 윤리이자 예의
  • 원래의 아이디어가 어디서 유래되고 저자의 아이디어를 많이 찾기 원하는 사람들의 일을 도와주는
  • 논문 인용방법

 

  • 논문으로 공개되지 않은 정보의 출처표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