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것30 [Writing Science/과학적 글쓰기] Chap.06 The Funnel: Connecting O and C Ch 6. The Funnel: Connecting O and C O: large problem을 정의하는것 C: specific question 을 정의하는것 Introduction의 main body는 이 둘을 연결 시키는 것이다. (모래시계의 깔때기) Focus를 narrow 하고 (general -> specific으로 이끌고) 스토리를 만들면서 'knowledge gap'을 프레이밍(framing, 틀을 짜는것) 하는 것이다. *knowledge gap은 general과 specific 사이의 지식의 격차 'knowledge gap'을 프레이밍 한다는 것은 배경 지식을 제시하면서 할 수 있다. SUCESS에서, U와 E를 담당 : 지식 격차와 구멍을 규명함으로써, 의외성을 만들고, 끝에 질문을 .. 2021. 4. 29. [Writing Science/과학적 글쓰기] Chap.05 The Opening Ch.5 The Opening " The most important sentence in any article is the first one." ㅡ William Zinsser, On Writing Well 글은 반드시 시작을 잘해야 한다!! 첫 인상은 강하고 오래 남기 때문. 아래 3가지 목표 달성을 위해 "power position"을 활용하도록 한다. [ Three goals ] ① identify the problem that drives the research ② introduce the characters ③ target an audience single sentence로 시작하되 한 문단 이상을 포함하여 opening 시작 재능이 있으면 challenge랑 conclusions까지도 미리 암.. 2021. 4. 29. [Writing Science/과학적 글쓰기] Chap.01 - 04 Science Writing as Storytelling 들어가며 아마존(Amazon)에서 과학적 글쓰기에 관해 상위 랭킹을 차지하고 있는 'Writing Science'를 스터디 하고자 한다. 저자는 Joshua Schimel 교수로 토양, 생태계, 화학 등에 전문성을 갖고 있는 환경 과학자이다. 본 도서는 약 220페이지로 과학 분야의 학술 글쓰기 방법을 쉽게 풀어내고 있다. 각종 예시와 예제를 통해 개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돼있다. (다만 저자의 전문분야인 토양 내 화학반응과 관련 된 예문이 많아서 전공자가 아니면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엔 버퍼링이 다소 걸린다. 종종 환경, 기후변화에 대한 컨텐츠가 나오면 매우 반가움.) 독자를 위한 안내 초록읽기 스터디를 함께 하는 친구들과 각 챕터를 맡아 매주 발제하는 형식으로 몇 주에 걸쳐 본 교재를 다 .. 2021. 3. 31. [이공계 논문쓰기 특강] 국제 학술지 출판을 위한 이공계 논문 작성 방법 논문 왜 쓰는가? 동료 학자들에게 내가 만든 "유익한 정보의 전달과 검증" 유익함은 어떻게 인정되는가? 1st. 많은 동료들에게 읽혀야 한다. 2nd. 많은 동료들이 인정하고 활용해 주어야 한다. 많이 읽히고 활용됨의 지표는? RG (Research Gate) Citations & Reads 횟수 1. 제목 Title "이렇게 유익한 내용이 들어가 있음"을 내포해야 함 정확하면서도 간결 대표적이고 강력한 주제어를 맨 앞에 배치. 첫 단어로 다음은 사용을 피할 것 The, A, On, Results on, Studies on, investigation on, An approach to, An analysis of e.g.)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자정부가 부패에 미치는 영향 필요하.. 2021. 2. 18. [영어 논문쓰기 특강 #2] 서론, 문헌연구, 논의 섹션 0. 지난 강의 리뷰 Reading for Language: A brief analysis of a recipe (포스팅 참고) Today's menu 장르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쓰기에 도움이 됨. 쓰기를 염두에 두고 제목의 구조를 유심히 보길 추천. 논문 제목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콜론(:) 서론에는 주로 어떤 내용이 어떤 순서대로 오는지를 보길. 문단 단위로 보면 파악 가능 Ingredients 1 tablespoon olive oil - 수량 / 계량 단위 / 재료 2 cloves garlic, minced - 수량 / 계량 단위 / 재료 / 손질 방법 Trim, chop, mince, snip 등 재료에서는 동사들이 주로 과거분사 형태로 쓰이는 구나 [Step1] heat, add, c.. 2021. 2. 18. [영어 논문쓰기 특강 #1] 개념적 기초와 초록쓰기 전략 Ⅰ 들어가며 : 학술 영작문 3중고, 어떻게 풀 것인가? 3중고 외국어로 써야한다. 일상 산문도 영어로 써본 적이 없다. - 네이티브와 비교할 필요는 없음. 그들도 논문을 잘 쓰지는 않으니까. 언어 능숙도를 보면 미국인이나 영국인이 더 잘하겠지만 본인의 전공에 대해 논문을 쓰는 것은 다른 차원임. 네이티브보다 당연히 더 잘 쓸 수 밖에 없음. 하지만 차이를 아는 것은 중요함. 왜 네이티브와 차이가 나는가? 일상어와 학술어와의 차이라고 생각. 일상어조차 영어로 잘 안쓰는 상황에서 외국어로 학술 글쓰기를 얹는다는 것은 정말 큰 차이. 한국어 쓰기 교육도 받은 적이 없다. - 대학교 1학년 글쓰기 과목 외에는 대체로 한국어 교육도 받아본 적이 없다보니 이 상황에서 영어로 논문을 쓰려하니 어려울 수 밖에. 그래.. 2021. 1. 20. [초록읽기] 006번째 Humid heat waves at different warming levels 매주 대학원 친구들과 하고 있는 초록읽기 스터디. 오늘은 Nature Scientific Reports에 있는 지구온난화 단계에 따른 습한폭염에 관한 논문을 읽었다. 현재 이것과 관련 된 시뮬레이션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이끌리는 제목이었다. 흐름 문장 설명 표현/단어 인트로 배경 The co-occurrence of consecutive hot and humid days during a heat wave can strongly affect husman health. 연이은 덥고 습한 날 -> 건강에 큰 영향 연이은 동시 사건 발생시 co-occurrence of consecutive A and B 그래서 보고자 한 것 : 습도의 영향! Here, we quantify humid heat wav.. 2020. 11. 3. [EngAll 잉그올/화상영어] 11/2 with Gloria 처음 만나는 튜터인지라 잉그올을 왜 하고 있는지 나누면 좋을 것 같아서 영어 공부에 대한 주제를 잡았다. Grammar Error & New expressions 1) care a lot about ~ 어떤 대상에 대해 신경을 많이 쓴다 혹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사물이든 생물이든 다 쓸 수 있을 것 같다. 또는 A lot of things are going on in my head. I process too much in my head. I care about you a lot. I care a lot about speaking perfect Eng. 2) just for ~ 단지 무엇만을 위할 때 We use it just for test scores or university or job ap.. 2020. 11. 2. [EngAll 잉그올/화상영어] 11/1 with Alexlyn 한 달 여만에 알렉슬린과의 수업 (과감하게 1시간 동안 대화) Grammar Error: 1) adopt → adapt 적응을 표현한다는 것이 adopt로 발음을 해버렸다 (아차!!). adjust to 도 같은 의미를 가지는데 둘은 어떤 뉘앙스의 차이가 있을까? We need to adapt to new normal post covid era. I've been trying to adapt to my school life. It took me a while to adjust to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2) getting better → managing my classes better → doing better = general 학교생활이나 수업 듣는 것들이 점점 더 나.. 2020. 11. 1.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